수페르리가 엘라다

덤프버전 : (♥ 0)

||
[ 펼치기 · 접기 ]

#555,#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height=50><width=20%> [[라리가|[[파일:라리가 로고.svg|height=15]]]][br]
[[라리가|{{{#171714 '''라리가'''}}}]]
||<width=20%> [[세리에 A|[[파일:세리에 A 로고.svg|height=20]]]][br]
[[세리에 A|{{{#032e78,#86b2fc '''세리에 A'''}}}]]
||<width=20%> [[프리메이라 리가|[[파일:프리메이라 리가 벳클릭 로고.webp|height=20]]]][br]
[[프리메이라 리가|{{{#fff '''프리메이라 리가'''}}}]]
||<width=20%> [[튀르키예 쉬페르리그|[[파일:쉬페르리그 로고.svg|height=20]]]][br]
[[쉬페르리그|{{{#fff '''쉬페르리그'''}}}]]
||<width=20%> [[프로타트리마 A 카티고리아스|[[파일:Cypriot First Division - CYTA Logo.png|height=20]]]][br]
[[프로타트리마 A 카티고리아스|{{{#fff '''A 카티고리아스'''}}}]]
|| ||<rowbgcolor=#f0f0f0,#191919>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터키|[[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키프로스|[[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30]]]] || ||<height=50> [[세르비아 수페르리가|[[파일:Serbian SuperLiga.png|height=20]]]][br]
[[세르비아 수페르리가|{{{#fff '''수페르리가'''}}}]]
|| [[프르바 HNL|[[파일:image_processing20220826-1-zx74di.png|height=20]]]][br]
[[프르바 HNL|{{{#fff '''프르바 HNL'''}}}]]
|| [[수페르리가 엘라다|[[파일:883px-수페르리가_엘라다_로고.svg.png|height=20]]]][br]
[[수페르리가 엘라다|{{{#fff '''수페르리가'''}}}]]
|| [[리갓 하알|[[파일:이스라엘1부리그.png|height=20]]]][br]
[[리갓 하알|{{{#FEE602 '''리갓 하알'''}}}]]
|| [[파르바 리가|[[파일:Bulgaria Parva Liga Logo.png|height=20]]]][br]
[[파르바 리가|{{{#8d6a1c '''파르바 리가'''}}}]]
|| ||<rowbgcolor=#f0f0f0,#191919> [[세르비아|[[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 [[크로아티아|[[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30]]]] || [[그리스|[[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30]]]] || [[이스라엘|[[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30]]]] || [[불가리아|[[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30]]]] || ||<height=50> [[리가 I|[[파일:Liga I casa.png|height=20]]]][br]
[[리가 I|{{{#fff '''리가 I'''}}}]]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파일:보스니아 축구리그.jpg|height=20]]]][b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fff '''프리미어 리그'''}}}]]
|| [[프르바 리가|[[파일:북마케도니아 축구리그.png|height=20]]]][br]
[[프르바 리가|{{{#fff '''프르바 리가'''}}}]]
||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파일:알바니아 축구리그.png|height=20]]]][br]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fff '''수페리오레'''}}}]]
|| [[몰타 프리미어 리그|[[파일:MaltesePremierLeague.jpg|height=20]]]][br]
[[몰타 프리미어 리그|{{{#73123d '''프리미어 리그'''}}}]]
|| ||<rowbgcolor=#f0f0f0,#191919> [[루마니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30]]]] || [[북마케도니아|[[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30]]]] || [[알바니아|[[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30]]]] || [[몰타|[[파일:몰타 국기.svg|width=30]]]] || ||<height=50> [[코소보 슈퍼리그|[[파일:코소보 슈퍼리그.png|height=20]]]][br]
[[코소보 수페르리가|{{{#fff '''수페르리가'''}}}]]
|| [[지브롤터 풋볼 리그|[[파일:지브롤터 풋볼 리그 검은워드마크.png|height=20&theme=light]][[파일:지브롤터 풋볼 리그.png|height=20&theme=dark]]]][br]
[[지브롤터 풋볼 리그|{{{#fff,#fff '''풋볼 리그'''}}}]]
|| [[프르바 CFL|[[파일:Telekom_Prva_CFL.png|height=20]]]][br]
[[프르바 CFL|{{{#fff '''프르바 CFL'''}}}]]
|| [[프리메라 디비지오|[[파일: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20]]]][br]
[[프리메라 디비지오|{{{#1b3e9b,#6486e4 '''프리메라 디비지오'''}}}]]
||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파일: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 엠블럼.png|height=20]]]][br]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fff '''캄피오나토'''}}}]]
|| ||<rowbgcolor=#f0f0f0,#191919> [[코소보|[[파일:코소보 국기.svg|width=30]]]] || [[지브롤터|[[파일:지브롤터 기.svg|width=30]]]] || [[몬테네그로|[[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width=30]]]] || [[안도라|[[파일:안도라 국기.svg|width=30]]]] || [[산마리노|[[파일:산마리노 국기.svg|width=30]]]] || ||<-5> {{{-2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전 세계 리그]]}}} ||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DDD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height=80> [[파일:PAS 라미아 1964 로고.svg|height=50]][br]
[[PAS 라미아 1964|{{{#fbc827 '''라미아'''}}}]]
||<width=33%> [[파일:볼로스 FC 로고.svg|height=50]][br]
[[볼로스 FC|{{{#ffffff '''볼로스'''}}}]]
||<width=33%> [[파일:아리스 테살로니키 FC 로고.svg|height=50]][br]
[[아리스 테살로니키 FC|{{{#000000 '''아리스'''}}}]]
|| ||<height=80> [[파일: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 로고.svg|height=50]][br]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ffffff '''아스테라스'''}}}]]
|| [[파일:AEK 아테네 FC 로고.svg|height=50]][br]
[[AEK 아테네 FC|{{{#000 '''아테네'''}}}]]
|| [[파일:아트로미토스 FC 로고.svg|height=50]][br]
[[아트로미토스 FC|{{{#ffffff '''아트로미토스'''}}}]]
|| ||<height=80> [[파일:올림피아코스 FC 로고.svg|height=50]][br]
[[올림피아코스 FC|{{{#ffffff '''올림피아코스'''}}}]]
|| [[파일:PAS 지아니나 FC 로고.svg|height=50]][br]
[[PAS 지아니나 FC|{{{#ffffff '''지아니나'''}}}]]
|| [[파일:OFI 크레타 FC 로고.svg|height=50]][br]{{{#231f20,#fff
[[OFI 크레타 FC|{{{#fff,#231f20 '''크레타'''}}}]]
}}} || || [[AE 키피시아 FC|[[파일:AE 키피시아 FC 로고.svg|height=50]]]][br]
[[AE 키피시아 FC|{{{#ffffff '''키피시아'''}}}]]
|| [[파일:파나티나이코스 FC 로고.svg|height=50]][br]
[[파나티나이코스 FC|{{{#ffffff '''파나티나이코스'''}}}]]
|| [[파일:파네톨리코스 FC 로고.svg|height=50]][br]
[[파네톨리코스 FC|{{{#fff70d '''파네톨리코스'''}}}]]
|| ||<height=80> [[파일:판세라이코스 FC 로고.svg|height=50]][br]
[[판세라이코스 FC|{{{#ffffff '''판세라이코스'''}}}]]
|| [[파일:PAOK FC 로고.svg|height=50]][br]
[[PAOK FC|{{{#d2b887 '''PAOK'''}}}]]
|| [[수페르리가 엘라다|[[파일:883px-수페르리가_엘라다_로고.svg.png|height=65]]]] || ||<-4><width=50%>
[[틀:수페르리가 엘라다 2|[[파일:수페르리가 엘라다 2 로고.png|height=40]] {{{#fff '''▶'''}}}]]
|| ||<-3> {{{-1 [[틀:라리가|[[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라리가]]|[[틀:세리에 A|[[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세리에 A]]|[[틀:프리메이라 리가|[[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프리메이라 리가]][br][[틀:쉬페르리그|[[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0]] 쉬페르리그]]|[[틀:프로타트리마 A 카티고리아스|[[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20]] A 카티고리아스]]|[[틀:세르비아 수페르리가|[[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0]] 수페르리가]][br][[틀:프르바 HNL|[[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0]] 프르바 HNL]]|[[수페르리가 엘라다|[[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0]] 수페르리가]]|[[틀:리갓 하알|[[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0]] 리갓 하알]][br][[틀:파르바 리가|[[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0]] 파르바 리가]]|[[틀:리가 I|[[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0]] 리가 I]]|[[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br][[틀:프르바 리가|[[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20]] 프르바 리가]]|[[틀: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20]]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틀:몰타 프리미어 리그|[[파일:몰타 국기.svg|width=20]] 몰타 프리미어 리그]][br][[틀:코소보 수페르리가|[[파일:코소보 국기.svg|width=20]] 코소보 수페르리가]]|[[틀:지브롤터 풋볼 리그|[[파일:지브롤터 기.svg|width=20]] 풋볼 리그]]|[[틀:프르바 CFL|[[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width=20]] 프르바 CFL]][br][[틀:프리메라 디비지오|[[파일:안도라 국기.svg|width=20]] 프리메라 디비지오]]|[[틀: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파일:산마리노 국기.svg|width=20]]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 ||<-3>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Σούπερ Λίγκα Ελλάδα
Super League Greece
수페르리가 엘라다
파일:883px-수페르리가_엘라다_로고.svg.png
정식 명칭수페르리가 엘라다
(Super league Greece)
창설 연도1927년 - 범그리스 챔피언십
1959년 - 알파 에스니키
2006년 - 수페르리가 엘라다
참가 팀 수14개 팀
하위 리그수페르리가 엘라다 2
최근 우승팀파일:AEK 아테네 FC 로고.svg AEK 아테네 FC (2022-23)
최다 우승팀파일:올림피아코스 FC 로고.svg 올림피아코스 FC (47회)
UEFA 랭킹19위 #
공식 웹사이트파일:883px-수페르리가_엘라다_로고.svg.png
공식 SNS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LinkedIn 아이콘.svg

1. 개요
2. 진행 방식
3. 위상
4. 장래성
5. 수페르리가 엘라다와 대한민국
6. 참가 클럽
7. 우승 트로피
8. 역대 우승팀 연혁
8.1. 범그리스 챔피언십
8.2. 알파 에스니키
8.3. 수페르리가 엘라다
9. 클럽별 우승/준우승 횟수
10. 시즌별 올해의 팀
11. 역대 시즌 득점왕



1. 개요[편집]


수페르리가 엘라다(그리스어: Σούπερ Λίγκα Ελλάδα)그리스의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다. 2006년에 수페르리가 엘라다는 그때까지 그리스 1부 리그였던 알파 에스니키(Α΄ Εθνική)를 대체하며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로 탄생하였다. 알파 에스니키는 이전에 계속되어 오던 범그리스 챔피언십을 대신하여 1959년에 만들어진 대회로서, 기존의 아마추어 리그에서 프로 리그로 전환된 형태였다. 그 때까지 범그리스 챔피언십은 아테네, 피레아스, 테살로니키, 파트라와 같은 대형 축구 연맹만이 참가하는 컵 대회 형식의 그리스 최고 리그였다. 범그리스 챔피언십은 1906년에 시작되어 1959년에 알파 에스니키가 탄생할 때까지 계속되어 왔었다. 2006 시즌부터 수페르리가 엘라다라는 명칭으로 개칭했다.


2. 진행 방식[편집]


수페르리가에서는 19-20 시즌부터 14개 클럽이 정규리그를 각각 26경기씩 진행한다. 이후 상위 6개 팀은 플레이오프 라운드에 진출하여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각각 10경기씩 치르고 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 3라운드, 2위는 예선 2라운드에 진출하고 3~4위는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예선 2라운드에 진출한다. 반면, 하위 8개 팀은 플레이아웃 라운드에서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각각 7경기씩 치르고 최하위팀은 바로 강등되어 2부 리그의 승격 플레이오프 승리팀과 자리를 맞바꾼다. 그리고 13위는 2부 리그의 승격 플레이오프 패배팀과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러 승강여부를 결정한다.[1]


3. 위상[편집]


위상 면에서는 간혹 유로피언컵 시절에는 파나티나이코스 FC가 결승에 1번 진출한적 있었다.[2] 챔피언스 리그로 이름이 바뀐 뒤에는 간간히 16강을 돌파하는 클럽이 나오는 정도로, 다크호스에 가까운 입장이다. 그러나 95/96 시즌 파나티나이코스 FC의 챔피언스 리그 4강, 98/99 시즌 올림피아코스 FC의 챔피언스 리그 8강 진출 같은 성적으로 2000년대 초반 한때 UEFA 리그 랭킹에서 네덜란드, 포르투갈, 러시아를 밀어내고 6위까지 올라가기도 했다. 2011/2012 시즌 이후 랭킹은 10위로, 2000년대 중반 계속 성적이 하락했다 후반부터 성적이 조금씩 나아지며 다시 10위권으로 진입했지만 2020년대 와서 터키보다 밑인 17~18위 정도로 10위권 후반을 겨우 버티고 있다.

유럽대항전에서의 성적은 파나티나이코스 FC > 올림피아코스 FCAEK 아테네 FC


4. 장래성[편집]


그러나 인구 1천만을 겨우 넘는 자국 리그 시장 규모나 여러모로 포르투갈 프리메이라 리가와 비슷하지만 챔피언스 리그 성적은 2000년대 들어 포르투갈에 많이 밀리고, 다른 면에서도 포르투갈에 조금씩 밀린다. 게다가 2000년대 와서 올림피아코스와 파나티나이코스만 우승을 독점하며 다른 팀들이 경제적으로 열악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3] 챔피언스 리그에서도 이 2팀이 그나마 성적을 낼 뿐, 다른 수페르리가 엘라다 팀들 성적은 동네북을 벗어나지 못하는 수준. 역대 챔피언스 리그 성적은 이웃 라이벌 터키 쉬페르리그보다 앞서지만 7배가 넘는 인구와 성장력을 바탕으로 나날이 커져가는 쉬페르리그에 시장성 및 경제성 면에서 많이 뒤처지고 있다. 거기에 자국 경제 악화와 어려운 사정으로 구단 투자도 많이 위축된 상황에 황금새벽당 같은 나치 추종 백인우월주의 극우정당이 인기를 얻어, 유색인종 외국 선수에 대한 혐오를 많이 보이며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2000년대 중순경에는 올림피아코스와 파나티나이코스가 어느 정도 국제 클럽 대회 성적을 내서 유럽 리그 랭킹 6위까지 오르는 이변을 낳았지만, 2010년대 와서는 옛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2010년대 중후반에는 10위권 중순을 맴돌다가 2020년대 초에는 10위권 후반으로 떨어졌다.

리그 인기도 몇몇 인기 팀 빼면 K리그보다 훨씬 적은 관중이 올 정도로 떨어져서, 스폰서 유치도 안 되고 1부 리그 팀들 상당수가 재정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 2015년에 인기 팀인 올림피아코스는 평균 관중 20,108명, 2위인 PAOK는 11,856명이며, 그리고 3위인 AEK 아테네가 9,780명, 4위 파나티나이코스는 8,792명이었다. 5위부터는 구단 평균 3,000명이 안된다. 최하위 아폴론스미르니는 평균 관중이 770명이다. 이 때문인지 리그 참여팀 14팀 중 이오니코스 FC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를 제외한 12팀의 스폰서가 스포츠 도박 회사이다.

이러다보니, 팀 수도 다른 유럽 빅리그에 크게 밀려 1부리그 팀이 14개로 리그 경기가 26경기 밖에 안된다. 터키 쉬페르리그가 2021-22 시즌에 20개 팀으로 1부리그를 벌이고 그리스와 인구 수에서 큰 차이가 없는 포르투갈 프리메이라 리가조차도 1부리그가 18개로 분데스리가와 같은 거랑 대조적이다.

아시아 선수도 여럿이 왔는데 가장 맹활약한 건 이란 선수 카림 안사리파드가 2017-18시즌에 올림피아코스 소속으로 리그에서만 17골로 리그 득점 2위를 기록한 것이 아시아 국적 선수로서의 최다 득점이다. 안사리파드는 이 활약으로 노팅엄 포레스트에 입단했으나 부진했다. 그래도, 수페르리가 엘라다에서의 맹활약에 그리스 리그 팀들의 주목을 받아 AEK 아테네로 입단해 2020-21 시즌, 리그 13골로 또 다시 리그 득점 2위(이번에는 공동 2위)까지 차지했다. 하지만, 계약연장을 하지 않고 키프로스 리그로 가서 거기서 맹활약 중이다.


5. 수페르리가 엘라다와 대한민국[편집]


순서이름클럽기간
1장결희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2017~2018
2황인범올림피아코스 FC2022~2023
3황의조올림피아코스 FC2022~2023[4]

EPL, 리그앙, 분데스리가 등과 달리 한국 선수들의 진출 소식이 없었기에 본래는 한국과 큰 인연이 없는 리그였으나, 2017년 7월 FC 바르셀로나 후베닐 A에서 뛰던 장결희가 이적하면서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2017-18시즌에 U-20팀에서만 23경기(4득점)를 소화했을 뿐 1군 콜업은 없었으며 결국 시즌 종료 후 방출되었다.

장결희 이후 나오지 않을 것 같던 2호 선수는, 2022년 국가대표팀의 핵심 미드필더 황인범이 리그 최강팀 올림피아코스 FC 유니폼을 입으면서 5년만에 나오게 되었다. 이후 한달 뒤엔 EPL 노팅엄 포레스트 FC에 입단 뒤 바로 임대로 합류한 황의조까지 등장하면서 올림피아코스 FC는 두 명의 한국인 선수를 보유하게 되었다. 그러나 황인범은 팀에서 빠르게 자리를 잡아가는 것에 비해 황의조는 부진을 거듭하며 2022년 연말부터 1군에서 말소되었고 결국 임대 조기 종료 후 FC 서울로 재임대를 떠나며 전격적으로 K리그에 복귀한다.

한편 올림피아코스의 주전 미드필더로 빠르게 자리잡은 황인범은 리그 34경기 3골 4도움에 유럽대항전과 컵대회에서 각각 1골씩을 더 넣으며 40경기 5골 4도움이라는 대단한 활약을 보였고 올림피아코스 시즌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며 리그 최고 수준의 미드필더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시즌 종료 후 구단과의 불화로 1시즌만에 세르비아로 떠났다.

6. 참가 클럽[편집]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DDD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width=33%><height=80> [[파일:PAS 라미아 1964 로고.svg|height=50]][br]
[[PAS 라미아 1964|{{{#fbc827 '''라미아'''}}}]]
||<width=33%> [[파일:볼로스 FC 로고.svg|height=50]][br]
[[볼로스 FC|{{{#ffffff '''볼로스'''}}}]]
||<width=33%> [[파일:아리스 테살로니키 FC 로고.svg|height=50]][br]
[[아리스 테살로니키 FC|{{{#000000 '''아리스'''}}}]]
|| ||<height=80> [[파일: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 로고.svg|height=50]][br]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ffffff '''아스테라스'''}}}]]
|| [[파일:AEK 아테네 FC 로고.svg|height=50]][br]
[[AEK 아테네 FC|{{{#000 '''아테네'''}}}]]
|| [[파일:아트로미토스 FC 로고.svg|height=50]][br]
[[아트로미토스 FC|{{{#ffffff '''아트로미토스'''}}}]]
|| ||<height=80> [[파일:올림피아코스 FC 로고.svg|height=50]][br]
[[올림피아코스 FC|{{{#ffffff '''올림피아코스'''}}}]]
|| [[파일:PAS 지아니나 FC 로고.svg|height=50]][br]
[[PAS 지아니나 FC|{{{#ffffff '''지아니나'''}}}]]
|| [[파일:OFI 크레타 FC 로고.svg|height=50]][br]{{{#231f20,#fff
[[OFI 크레타 FC|{{{#fff,#231f20 '''크레타'''}}}]]
}}} || || [[AE 키피시아 FC|[[파일:AE 키피시아 FC 로고.svg|height=50]]]][br]
[[AE 키피시아 FC|{{{#ffffff '''키피시아'''}}}]]
|| [[파일:파나티나이코스 FC 로고.svg|height=50]][br]
[[파나티나이코스 FC|{{{#ffffff '''파나티나이코스'''}}}]]
|| [[파일:파네톨리코스 FC 로고.svg|height=50]][br]
[[파네톨리코스 FC|{{{#fff70d '''파네톨리코스'''}}}]]
|| ||<height=80> [[파일:판세라이코스 FC 로고.svg|height=50]][br]
[[판세라이코스 FC|{{{#ffffff '''판세라이코스'''}}}]]
|| [[파일:PAOK FC 로고.svg|height=50]][br]
[[PAOK FC|{{{#d2b887 '''PAOK'''}}}]]
|| [[수페르리가 엘라다|[[파일:883px-수페르리가_엘라다_로고.svg.png|height=65]]]] || ||<-4><width=50%>
[[틀:수페르리가 엘라다 2|[[파일:수페르리가 엘라다 2 로고.png|height=40]] {{{#fff '''▶'''}}}]]
|| ||<-3> {{{-1 [[틀:라리가|[[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20]] 라리가]]|[[틀:세리에 A|[[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0]] 세리에 A]]|[[틀:프리메이라 리가|[[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0]] 프리메이라 리가]][br][[틀:쉬페르리그|[[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0]] 쉬페르리그]]|[[틀:프로타트리마 A 카티고리아스|[[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20]] A 카티고리아스]]|[[틀:세르비아 수페르리가|[[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20]] 수페르리가]][br][[틀:프르바 HNL|[[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20]] 프르바 HNL]]|[[수페르리가 엘라다|[[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0]] 수페르리가]]|[[틀:리갓 하알|[[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0]] 리갓 하알]][br][[틀:파르바 리가|[[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20]] 파르바 리가]]|[[틀:리가 I|[[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20]] 리가 I]]|[[틀: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20]] 프리미어 리그]][br][[틀:프르바 리가|[[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20]] 프르바 리가]]|[[틀: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20]]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틀:몰타 프리미어 리그|[[파일:몰타 국기.svg|width=20]] 몰타 프리미어 리그]][br][[틀:코소보 수페르리가|[[파일:코소보 국기.svg|width=20]] 코소보 수페르리가]]|[[틀:지브롤터 풋볼 리그|[[파일:지브롤터 기.svg|width=20]] 풋볼 리그]]|[[틀:프르바 CFL|[[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width=20]] 프르바 CFL]][br][[틀:프리메라 디비지오|[[파일:안도라 국기.svg|width=20]] 프리메라 디비지오]]|[[틀: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파일:산마리노 국기.svg|width=20]]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 ||<-3>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 및 대표팀/둘러보기 틀|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참가 클럽전 시즌 순위특이사항1부 첫 참가최근 승격 시즌
AEK 아테네 FC우승UEFA 챔피언스 리그 3차예선 진출1959-19602015-2016
파나티나이코스 FC준우승UEFA 챔피언스 리그 2차예선 진출1959-1960[A]
올림피아코스 FC3위UEFA 유로파 리그 3차예선 진출1959-1960[A]
PAOK FC4위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1959-1960[A]
아리스 테살로니키 FC5위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1959-19602018-2019
볼로스 FC6위-2019-2020
OFI 크레타 FC7위-1968-19692018-2019
아트로미토스 FC8위-1972-19732009-2010
PAS 지아니나 FC9위-1974-19752020-2021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10위-1975-19762013-2014
파네톨리코스 FC11위-1975-19762013-2014
PAS 라미아 196412위승강 플레이오프 승자2017-2018
판세라이코스 FC-그리스 수페르리가 2 북그룹 우승[5]1964-19652023-2024
AE 키피시아 FC-그리스 수페르리가 2 남그룹 우승[6]2023-2024

7. 우승 트로피[편집]


파일:Super League Greece.png


8. 역대 우승팀 연혁[편집]



8.1. 범그리스 챔피언십[편집]


시즌우승 팀준우승 팀
1927-28아리스에스니코스 피레아스
1928-29미개최
1929-30파나티나이코스아리스
1930-31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1931-32아리스파나티나이코스
1932-33올림피아코스아리스
1933-34올림피아코스이라클리스
1934-35미개최
1935-36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1936-37올림피아코스PAOK
1937-38올림피아코스아폴론 스미르니스
1938-39AEK이라클리스
1939-40AEKPAOK
1940-41미개최
1941-42미개최
1942-43미개최
1943-44미개최
1944-45미개최
1945-46아리스AEK
1946-47올림피아코스이라클리스
1947-48올림피아코스아폴론 스미르니스
1948-49파나티나이코스올림피아코스
1949-50미개최
1950-51올림피아코스파니오니오스 FC
1951-52미개최
1952-53파나티나이코스올림피아코스
1953-54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1954-55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1955-56올림피아코스에스니코스 피레아스
1956-57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1957-58올림피아코스AEK
1958-59올림피아코스AEK


8.2. 알파 에스니키[편집]


시즌우승 팀준우승 팀
1959-60파나티나이코스AEK
1960-61파나티나이코스올림피아코스
1961-62파나티나이코스올림피아코스
1962-63AEK파나티나이코스
1963-64파나티나이코스올림피아코스
1964-65파나티나이코스AEK
1965-66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1966-67올림피아코스AEK
1967-68AEK올림피아코스
1968-69파나티나이코스올림피아코스
1969-70파나티나이코스AEK
1970-71AEK파니오니오스 FC
1971-72파나티나이코스올림피아코스
1972-73올림피아코스PAOK
1973-74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1974-75올림피아코스AEK
1975-76PAOKAEK
1976-77파나티나이코스올림피아코스
1977-78AEKPAOK
1978-79AEK올림피아코스
1979-80올림피아코스아리스
1980-81올림피아코스AEK
1981-82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1982-83올림피아코스라리사 FC
1983-84파나티나이코스올림피아코스
1984-85PAOK파나티나이코스
1985-86파나티나이코스OFI
1986-87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1987-88라리사 FCAEK
1988-89AEK올림피아코스
1989-90파나티나이코스AEK
1990-91파나티나이코스올림피아코스
1991-92AEK올림피아코스
1992-93AEK파나티나이코스
1993-94AEK파나티나이코스
1994-95파나티나이코스올림피아코스
1995-96파나티나이코스AEK
1996-97올림피아코스AEK
1997-98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1998-99올림피아코스AEK
1999-00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2000-01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2001-02올림피아코스AEK
2002-03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2003-04파나티나이코스올림피아코스
2004-05올림피아코스파나티나이코스
2005-06올림피아코스AEK


8.3. 수페르리가 엘라다[편집]



9. 클럽별 우승/준우승 횟수[편집]


클럽우승준우승우승 시즌
올림피아코스 FC47211931, 1933, 1934, 1936, 1937, 1938, 1947, 1948, 1951, 1954,
1955, 1956, 1957, 1958, 1959, 1966, 1967, 1973, 1974, 1975,
1980, 1981, 1982, 1983, 1987,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5, 2006, 2007, 2008, 2009,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20, 2021, 2022
파나티나이코스 FC20261930, 1949, 1953, 1960, 1961, 1962, 1964, 1965, 1969, 1970,
1972, 1977, 1984, 1986, 1990, 1991, 1995, 1996, 2004, 2010
AEK13191939, 1940, 1963, 1968, 1971, 1978, 1979, 1989, 1992, 1993,
1994, 2018, 2023
PAOK3101976, 1985, 2019
아리스 FC341928, 1932, 1946
라리사 FC 111988
이라클리스 FC03-
아폴론 스미르니스 FC02-
파니오니오스 FC02-
에스니코스 피레아스 1923 FC02-
OFI 크레타 FC01-

10. 시즌별 올해의 팀[편집]




||
||

2016-17 시즌 올해의 팀
마르쿠스 베리
(파나티나이코스 FC)
페트로스 만탈로스
(AEK 아테네])
마놀리스 시오피스
(파니오니오스 FC)
코스타스 포르투니스
(올림피아코스 FC)
제카
(파나티나이코스 FC)
마수드 쇼자에이
(파니오니오스 FC)
||
레오나르도 쿠트리스
(PAS 지아니나 FC)
로드리고 몰레도
(파나티나이코스 FC)
파나요티스 레초스
(올림피아코스 FC)
레오 마토스
(PAOK FC)
안드레아스 지아니오티스
(파니오니오스 FC)
||

2017-18 시즌 올해의 팀
마르코 리바야
(AEK 아테네)
카림 안사리파르드
(올림피아코스 FC)
라자로스 흐리스토둘로풀로스
(AEK 아테네)
안드레 시모에스
(AEK 아테네)
디미트리오스 쿠르벨리스
(파나티나이코스 FC)
암르 와르다
(아트로미토스 FC)
드미트리스 지아눌리스
(아트로미토스 FC)
페르난도 바렐라
(PAOK FC)
드미트로 치그린스키
(AEK 아테네)
레오 마토스
(PAOK FC)
안드레아스 지아니오티스
(아트로미토스 FC)

2018-19 시즌 올해의 팀
에프티미스 쿨루리스
(아트로미토스 FC)
요르고스 마수라스
(파니오니오스 FC / 올림피아코스 FC)
길례르미
(올림피아코스 FC)
코스타스 포르투니스
(올림피아코스 FC)
디미트리오스 쿠르벨리스
(파나티나이코스 FC)
다니엘 포덴스
(올림피아코스 FC)
||
비에이리냐
(PAOK FC)
페르난도 바렐라
(PAOK FC)
스피로스 리스바니스
(아트로미토스 FC)
오마르 엘랍델라위
(올림피아코스 FC)
알렉산드로스 파스찰라키스
(PAOK FC)
||

2019-20 시즌 올해의 팀
마르코 리바야
(AEK 아테네)
유세프 엘아라비
(올림피아코스 FC)
마티유 발부아니
(올림피아코스 FC)
요시프 미시치
(PAOK FC)
디미트리오스 쿠르벨리스
(파나티나이코스 FC)
요아니스 페트파치디스
(아리스 테살로니키 FC)
코스타스 치미카스
(올림피아코스 FC)
후벵 세메두
(올림피아코스 FC)
스피로스 리스바니스
(아트로미토스 FC)
오마르 엘랍델라위
(올림피아코스 FC)
주제 사
(올림피아코스 FC)

2020-21 시즌 올해의 팀
아나스타시오스 두비카스
(볼로스 FC)
유세프 엘아라비
(올림피아코스 FC)
요르고스 마수라스
(올림피아코스 FC)
안드레아스 부할라키스
(올림피아코스 FC)
얀 음빌라
(올림피아코스 FC)
레비 가르시아
(AEK 아테네)
프랑코 페라리
(볼로스 FC)
스베리르 잉기 잉가손
(PAOK FC)
후벵 세메두
(올림피아코스 FC)
야니스 코치라스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
소크라티스 디오우디스
(파나티나이코스 FC)

2021-22 시즌 올해의 팀
세르히오 아라우호
(AEK 아테네)
톰 반 비트
(볼로스 FC)
요르고스 마수라스
(올림피아코스 FC)
얀 음빌라
(올림피아코스 FC)
야스민 쿠르티치
(PAOK FC)
세바스티안 팔라시오스
(파나티나이코스 FC)
후안카르
(파나티나이코스 FC)
야니스 카르가스
(PAS 지아니나 FC)
파프 아부 시세
(올림피아코스 FC)
마놀리스 살리아카스
(PAS 지아니나 FC)
유리 로디긴
(PAS 지아니나 FC)

2022-23 시즌 올해의 팀
레비 가르시아
(AEK 아테네)
세드릭 바캄부
(올림피아코스 FC)
포티스 이오아니디스
(파나티나이코스 FC)
오르벨린 피네다
(AEK 아테네)
요안니스 콘스탄텔리아스
(PAOK FC)
루벤 페레스
(파나티나이코스 FC)
미야트 가치노비치
(AEK 아테네)
에산 하지사피
(AEK 아테네)
콘스탄티노스 쿨리에라키스
(PAOK FC)
해롤드 무쿠디
(AEK 아테네)
호지네이
(올림피아코스 FC)
알베르토 브리뇰리
(파나티나이코스 FC)


11. 역대 시즌 득점왕[편집]


시즌선수득점
2007-08이스마엘 블랑코19
2008-0914
2009-10지브릴 시세23
2010-1120
2011-12케빈 미랄라스20
2012-13라피크 제부르20
2013-14에스테반 솔라리16
2014-15헤로니모 바랄레스17
2015-16코스타스 포르투니스18
2016-17마르쿠스 베리22
2017-18알렉산다르 프리요비치19
2018-19에프티미스 쿨루리스19
2019-20유세프 엘아라비20
2020-2122
2021-22톰 반 비트17
2022-23세드릭 바캄부18


[1] 출처1, 출처2 [2] 당시 결승 상대는 AFC 아약스. 아약스에게 0-2로 패하며 준우승[3] 그나마 2018년에 AEK가 24년만에 우승하였고 2019년에 PAOK이 34년만에 우승하여 올림피아코스 왕조에 대항하고 있다. 반면 파나티나이코스는 폼이 상당히 떨어진 상태다.[4] 1년 임대[A] A B C 수페르리가 엘라다 출범 이후 한번도 강등 되지 않은 팀[5] 12년만의 승격[6] 창단 첫 승격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11:25:43에 나무위키 수페르리가 엘라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관련 문서